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확정(2025년 2분기)

by 정보s요정 2025. 7. 31.
반응형

삼성전자 2분기 배당금 지급일이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25년에는 평소와 분기별 배당일이 달라 혼선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바로 7월 31일 삼성전자에서 배당금 지급일을 확정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주환원정책 

1. 1년에 4번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2. 24년 11월부터 25년 2월까지 약 3조원의 자사주를 매입, 소각했습니다. 

3. 25년 7월 9일부터 현재 약 3조원의 자사주를 매입중입니다. 

    이번 매입은 임직원 성과보상용이며 소각은 일부분이 될 것이라 발표했습니다. 

4. 잉여현금흐름의 약 50%를 배당금으로 지급합니다. 

5. 삼성전자의 실적에 따라 특별배당금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역대 배당금은 얼마?

삼성전자는 꾸준히 361원을 지급해왔습니다.

24년 4분기부터 배당금이 증가하였으며

25년에는 1분기 365원, 2분기 367원으로 각각 2원씩 증가하였습니다.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5년 365원 367원    
24년 361원 361원 361원 363원
23년 361원 361원 361원 361원
22년 361원 361원 361원 361원

 

 

 

 

25년 2분기 삼성전자 배당금 일정 

배당금 보통주 : 367원  / 우선주 : 367원
배당기준일 6월 30일
배당락일 6월 27일
마지막 매수일 6월 26일
배당금 지급일  8월 20일
1주당 배당수익률  보통주: 0.6% / 우선주 0.7%

 

 

삼성전자와 관세 이슈 핵심 요약

1. 미국의 한국 관세 부과

2025년 미국 정부는 한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 수준으로 예고했고, 최근 15%로 협상 타결되어 8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한국 수출 기업은 무관세 혜택이 사라지며 가격경쟁력 약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2. 반도체 부문 관세 리스크

미국은 AI반도체·HBM 등 고성능 반도체에 대해 최대 25% 관세 부과를 준비 중입니다 삼성전자는 AI·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 제품의 대중 수출에 제약이 생기면서 수익성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3. 제품 생산 이전 및 공급망 구조 조정

삼성전자는 TV, 가전, 전자제품 등의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검토 중이며, 멕시코에서 일부 생산 이전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부문(Samsung SDI)은 미국 생산 공장에서 사용되는 외부 부품의 관세 부과로 인해 비용 부담 증가가 예상됩니다

 

4. 실적 영향 및 회사 공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4% 급감 → 약 4000억 원 수준까지 몰락했습니다.

이런 실적 부진은 수출 관세 부담, 수출 규제, 고급 칩 수출 제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삼성은 최근 테슬라와 약 165억 달러 규모의 장기 칩 공급 계약을 체결해 파운드리 부문 실적 회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관세 이슈가 삼성전자에 주는 의미

국제 관세 정책 변화는 삼성의 수익성, 공급망 전략,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과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있어 미국 시장 중심의 전략 재고가 긴요합니다.

일부 제품은 생산지를 미국 또는 기타 지역으로 이전해 관세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움직임이 실제로 진행 중입니다.

 

 

 

 

삼성전자 상반기 실적은?

2025년 1분기 실적

매출: 약 79.14조원, 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

영업이익: 6.7조원, 전 분기 대비 소폭 증가

 

주요 동인:

MX 부문 (모바일·네트워크):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 프리미엄 가전 판매 확대 → 매출 +28% 증가, 높은 수익성 유지

DS 부문 (반도체): HBM 수요 감소 및 수출 통제 영향 등으로 매출 ‑17%, 영업이익은 1.1조원 수준

기타: R&D 비용은 9조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치 

 

 

 

2025년 2분기 잠정 실적 (6월 말 기준)

매출: 약 74.6조원, 전 분기 대비 약 5–6% 감소 영업이익: 4.7조원, 전년 동기 대비 55–56% 급감

 

DS 부문: 서버용 HBM3E 및 고용량 DDR5 판매 증가로 매출 +11% → 하지만 메모리 재고 충당금, 파운드리 제재비용 반영 등으로 영업이익은 0.4조원(4000억원) 수준

 

D X 부문: 스마트폰 신제품 효과 둔화됨에도 갤럭시 S25 및 A 시리즈 판매 견조 → 영업이익 3.1조원 수준

Visual Display / Appliances 등은 수요 정체와 경쟁 심화로 수익성 악화

 

 

 

하반기 전망 및 전략 방향

1. AI·서버 수요 확대 대응: HBM3E, 고용량 DDR5, 서버 SSD 등을 중심으로 DS 부문 매출 회복 모색

2. Foundry 및 비메모리 대응: 미국 수출 규제 완화 및 차세대 공정 확보, 테슬라와의 165억 달러 계약 등이 향후 실적 모멘텀

3. 하반기 회복 기대: 전문가들 분석에 따르면 3분기부터 반도체 수요 정상화 가능성 → 영업이익 개선 여지

 

요약하자면, 2025년 상반기 실적은 1분기에는 모바일 중심의 성장, 2분기에는 반도체부문 일회성 비용 및 수요 제약으로 실적 둔화라는 구도였습니다. 하반기에는 AI·고부가가치 반도체 중심으로 수익성 회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Q&A

Q1. 2025년 2분기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은 언제인가요?

A1. 2025년 8월 20일입니다.

 

Q2. 삼성전자 2분기 배당금은 얼마인가요?

A2. 보통주와 우선주 모두 1주당 367원입니다.

 

Q3. 삼성전자는 몇 번 배당하나요?

A3. 연 4회 분기별로 배당합니다.

 

Q4. 2025년 상반기 삼성전자 실적은 어땠나요?

A4. 1분기는 호조, 2분기는 반도체 부진으로 실적 둔화였습니다.

 

 

Q5.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얼마나 줄었나요?

A5. 2025년 2분기 반도체 영업이익은 94% 급감해 약 4000억 원 수준입니다.

 

Q6. 미국 관세가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6. 수출 비용 증가로 수익성 악화 및 공급망 재조정이 필요합니다.

 

Q7. 삼성전자의 하반기 전망은 어떤가요?

A7. AI·서버 수요 회복에 따라 반도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