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샘 배당금 지급일 흑자전환 (+25년 최신)

by 정보s요정 2025. 9. 23.
반응형

한샘은 작년 파격적인 배당금을 지급해서 주주들의 환호를 받았습니다. 

 

올해는 한샘이 흑자전환에 성공한 뒤 실적 개선이 보이고 있지만 

 

배당금 지급은 감감무소식이라 더 의아해 하고 있는데요.

 

22년부터 분기배당을 지급해왔던 한샘은 25년 1분기 배당부터 배당금을 지급해오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다시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을 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샘 주가 

한샘은 요즘 3000천 코스피에도 날개를 펼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3개년 주가를 살펴보면 

작년 5월 69,000원으로 최고가를 찍었으며 

올해 4월 36,400원 최저가를 터치한 뒤 조금 회복된 상태입니다. 

 

 

한샘 역대 배당금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5년 - -    
24년 750원 1,580원 6,200원 -
23년 400원 1,500원 3,000원  
22년     1,550원  

 

 

 

한샘 상황

한샘은 현재 사모펀드 운용사에 인수된 뒤 실적이 나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수시 영업손실을 내던 한샘은 사모펀드에 매각된 뒤 흑자를 유지중입니다. 

 

하지만 기존사업 모델의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롯데가 한샘을 인수할 수 있는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아직 저울질 중인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최근 흑자는 어디서?

한샘은 사옥을 3200억원에 매각하였습니다. 

직원수를 감축하였습니다.

판관비를 통제하여 고정비 부담을 낮췄습니다. 

외형성장이 정체된 중에 비용절감으로 흑자를 낸 것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한샘은 30%의 자사주를 보유중입니다. 

실적보다는 자사주 처분 여부가 주가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라는 시작이 많아

자사주 처분을 잘 살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자사주 소각 방침을 발표하지 않은 한샘은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자사주 보유 목적을 밝혀야 합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한샘의 배당성향은 더 위축될 것이며 

배당금을 줄 현금이 충분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한샘 2025년 상반기 및 2분기 실적 정리

한샘은 2025년 상반기 실적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세부 수치를 살펴보면 기업의 현황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반기 매출 

먼저, 상반기 전체 매출은 약 9,029억 원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6.3% 감소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약 86억~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56.7% 줄어들며 큰 폭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이어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4,5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은 23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68.2% 급감해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 흐름

단기적으로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지만, 한샘의 수익성 구조는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2022년 : 영업손실 216억 원

2023년 : 영업이익 19억 원 (흑자 전환)

2024년 : 영업이익 312억 원 (흑자 확대)

 

이처럼 3년 연속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한샘이 B2C 중심 전략 강화, 리모델링 및 프리미엄 가구 사업 확대, 효율 경영 등에 힘쓴 결과로 평가됩니다.

 

🔹 한샘의 향후 전망

경기 불황 속에서도 흑자 기조 유지중입니다.

홈퍼니싱·리하우스 사업 강화를 통한 안정적 매출 구조 확보 B2C 경쟁력 확대로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채널 강화하려고 하는 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