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sk텔레콤 배당금 지급일 (최신)

반응형

sk텔레콤은 대표적인 고배당주입니다. 요즘 배당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sk텔레콤은 실적도 좋고 미래성장성도 좋은 만큼 인기있는 배당주입니다. 

 

배당성향 또한 높아 이익의 50~70%를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회사입니다. 

 

sk 텔레콤 주가 

25년 들어와서 1월부터 3월까지 sk텔레콤의 주식은 박스권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55,000원부터 59,000원사이에서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sk텔레콤은 현재 한국주식의 가장 핫한 주제인 미국관세와 관련이 없는 주식이며 대외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통신주 중 하나로서 반사이익을 보고 있습니다. 

 

 

 

2025년 sk텔레콤 배당금 정책 

sk텔레콤은 21년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했습니다. 매년 당기순이익의 50%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4년에는 1주당 3,54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이것은 수익률로 따지면 1주당 약 7%으로 예금 이자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입니다. 

 

 

 

 

역대 sk텔레콤 배당금은?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024년 830원 830원 830원 1,050원
2023년 830원 830원 830원 1,050원
2022년 830원 830원 830원 830원
2021년 - 830원 830원 1,661원

 

 

sk텔레콤 배당수익률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배당금 3,295원  3,320원 3,540원 3,540원
배당수익률 5.3% 6.8% 7.1% 7.0%

 

 

 

25년 sk텔레콤 배당금 일정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배당기준일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이사회 결의로 정하는 날

마지막 매수일 3월 27일 6월 26일 9월 26일 미정
배당락일 3월 28일 6월 27일 9월 27일 미정

 

원래 sk텔레콤은 깜깜이 배정인 12월 31일이 연말 배당기준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이사회의 회의를 거쳐 25년 4분기 부터는 배당금액을 미리 고지하는 배당정책으로 봐뀌었습니다. 배당금이 얼마인지 미리 알고 sk텔레콤 주식에 계속 투자할지 주주들이 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5년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 1,2분기)

삼성전자는 매년 9조 8천억원 이상을 배당금으로 쓰고 있습니다. 요즘 삼성전자 주가가 힘을 못쓰는 만큼 주주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배당금에 대한 이야기도 계속 나오는 중입니다.

first.suhsooinfo.com

 

 

 

 

 

 SK텔레콤 증권사별 목표 주가

유진투자증권: 6만 5,000원

신한투자증권: 6만 7,000원

하나증권: 7만 원

KB증권: 7만 5,000원

대신증권: 7만 7,000원

 

이러한 목표 주가는 SK텔레콤의 AI 사업 확대와 본업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 증권사에서는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5G 가입자 증가로 인한 이동전화 매출액 상승과 안정적인 영업이익 성장 전망도 긍정적인 평가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현재 SK텔레콤의 주가는 약 5만 5,000원 수준으로, 증권사들이 제시한 목표 주가 대비 20% 이상의 상승 여력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24년 SK텔레콤 실적은?

SK텔레콤은 2024년 한 해 동안 유·무선 통신과 인공지능(AI) 등 전 사업 분야에서 고른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매출액: 17조 9,406억 원 (전년 대비 1.9% 증가)

영업이익: 1조 8,234억 원 (전년 대비 4.0% 증가)

순이익: 1조 4,388억 원

 

별도 기준 실적

매출액: 12조 7,741억 원 (전년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1조 5,232억 원 (전년 대비 4.6% 증가)

순이익: 1조 3,322억 원

 

SK텔레콤는 작년에 고무적인 성과를 냈습니다. 이런 성과에는  AI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개인형 AI 비서 경쟁력 강화 등 AI 분야에서 두들어졌습니다.

 

또한, SK브로드밴드는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B2B 사업 확대에 힘입어 매출 4조 4,111억 원, 영업이익 3,51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3.1%, 13.7% 증가했습니다.

 

 

 

25년 SK텔레콤 전망은?

여러 증권사들은 SK텔레콤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목표 주가를 6만 5,000원에서 7만 7,000원 사이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2025년을 '실행의 해'로 선포하며, 통신과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사업 전략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1. 조직 개편 및 AI 역량 강화

SK텔레콤은 7대 사업부 체계로 조직을 재편하여 통신 본연의 경쟁력과 AI 실행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AI 데이터센터(AI DC),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엣지 AI 사업 등 AI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AI 데이터센터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국내 지역 거점에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검토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기업 '펭귄 솔루션스'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AI 서비스 및 생태계 구축

CES 2025에서 'Innovative AI, Sustainable Tomorrow'를 주제로 AI 데이터센터, AI 서비스, AI 생태계 등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강조하였습니다.

 

4. 매출 목표 및 기업 문화 혁신

2025년 매출 22조 원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AI를 통한 매출 성장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