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년 기업은행 배당금 지급일 배당락일

by 정보s요정 2025. 9. 1.
반응형

항상 저평가주로 평가받던 금융주가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2-3년 전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하다가 24년 작년 최고점을 찍을 것이라

전문가들이 예측했는데요.

 

예상을 깨고 올해에도 순항중인 금융주들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고배당주인 기업은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은행 주주구성 

기업은행은 다른 사기업과 다르게 정부의 지분이 50%가 넘는데요.

 

기획재정부 : 59.5%

산업은행 : 7.2%

수출입은행: 1.8%

기타 : 31.5%

 

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주주지분만 보면 정부기업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정부지분이 많은 만큼 장단점이 극명하게 들어납니다. 

 

장점은 다른 사기업들처럼 망할 일이 없다는 것입니다. 실적이 부진해도, 적자가 나도 정부에서 매꿔줄 수 있으니까요.

 

반대로 단점은 국가에 큰일이 생긴다면 즉, 국가재정위기가 온다면 기업은행이 앞장서서 기업들에게 금융조달을 해줄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 은행처럼 은행의 이익만 두고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고 국가의 앞날을 위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이 점이 기업은행의 주가의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은행은 매력적인 주식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기업은행 주주환원정책 

 

1. 기업은행 배당성향 

 

기업은행의 배당성향은 올해로 35%를 돌파했습니다. 

이 말은 순이익의 35%를 배당으로 지급한다는 것입니다. 

 

이재명정부의 배당 분리과세 조건에 맞는 배당성향이라 앞으로 전망은 더 좋을 듯합니다. 

 

2. 분기배당 가능성

25년 주주총회를 통해 분기배당을 할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올해 말 또는 내년 초부터 분기배당을 실시할 것 같습니다. 

 

3. 고배당

배당수익률이 무려 6.87%입니다. 

현재 기준금리와 비교해보면 2배가 넘는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 역대 배당금 

연도 배당금 1주당 배당수익률(%)
24년 1,065원 6.87
23년 984원 6.65
22년 960원 8.57
21년 780원 7.03
20년 471원 4.97
19년 670원 5.36
18년 690원 4.63
17년 617원 3.61
16년 480원 3.57

 

 

 

기업은행 배당금 일정 

기업은행은 23년도부터 배당기준일을 12월 31일에서 다음해 3월 31일로 변경했습니다. 

 

예상 배당금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당금 미정
배당기준일 26년 3월 31일 
배당락일 26년 3월 30일 
마지막 매수일 26년 3월 27일 
배당금 지급일  26년 4월 마지막주 

 

 

기업은행 상반기 실적 

 

1. 사상 최대 상반기 당기순이익

연결 기준 순이익: 1조 5,086억 원,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 경신

별도 기준 순이익: 1조 3,272억 원, 전년 대비 5.4% 증가

 

2. 중소기업 대출 확대 및 시장 점유율 상승

중소기업 대출 잔액: 258조 5,000억 원 (전년 말 대비 11.3조 원, +4.6%)

시장 점유율: 역대 최고치인 24.43% 달성

 

3. 비이자이익 증가와 안정적인 건전성 지표

1. 비이자이익이 약 3배 급증해 전체 실적을 뒷받침 (특히 투자유가증권 손익 등)

2. ROE: 8.78%, ROA: 0.64%, BIS 비율: 14.94%로 자본 건전성도 안정적

3. 대손비용률: 0.41%로 전년 대비 하락. 충당금 선제적 적립과 건전성 강화 노력 덕분

4. 다만, 고정이하여신비율 1.37%, 총연체율 0.91%로 소폭 상승하며 일부 건전성 부담도 존재

 

4. 향후 전략 방향

하반기에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첨단산업, 중견기업 지원 확대 AI 및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한 중소기업 금융 경쟁력 제고 계획

 

기업은행 증권사 목표주가는?

NH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9,000원 → 24,500원으로 상향

배경:

1. 상반기 실적 반영

2. 정부 자본시장 부양 정책 기대

3. 배당소득 분리과세 법안 수혜 가능성

목표 PBR 0.62배 적용 (2025년 BPS 기준)

 

신한투자증권

목표주가: 21,000원 → 23,000원으로 상향

배당소득세 개편 시 최대 수혜 기대

 

평균 목표주가: 19,045원

최고가: 24,500원 / 최저가: 13,700원

 

투자의견 분포: 매수 의견 8명, 매도 의견 3명. 전반적으로 ‘중립’ 기조 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