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년 하이트진로(우) 배당금 지급일 배당기준일

반응형

하이트진로(우)는 금융주와 함께 대표적인 고배당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배당금을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신 분들에겐 하이트진로(우)는 꼭 한 번 매수를 고려해봤을 것입니다. 요즘 실적도 좋아지고 있으며 25년 1분기 실적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되어 지는 데요.

 

오늘은 하이트진로(우)의 배당금과 일정, 주주환원정책등 모든것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하이트진로 배당일정

배당기준일 : 24년 12월 31일

배당락일: 24년 12월 27일 

마지막 매수일 : 24년 12월 26일

 

배당금: 950원/ 1,000원(우선주)

배당금 지급일 : 25년 4월 7일

 

 

 

 

2025년 우리금융지주 배당금지급일 (비과세 배당 정책 시행!)

금융주는 고배당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우리금융지주는 배당금 주식을 선호하는 분들의 포트폴리오에 항상 들어가 있는 주식인데요. 오늘은 우리금융지주 배

first.suhsooinfo.com

 

하이트진로 역대 배당금 

  배당금 배당수익률
2024년  950원 3.40%
2023년  950원 4.07%
2022년  950원 3.45%
2021년  800원 2.59%
2020년  750원 2.33%
2019년  700원 2.51%

 

 

하이트진로(2우B) 역대 배당금 

  배당금 배당수익률
2024년  1,000원 4.70%
2023년  1,000원 5.75%
2022년  1,000원 4.35%
2021년  850원 3.89%
2020년  800원 4.23%
2019년  750원 5.71%

 

 

 

화이트 진로 24년 실적은?

하이트진로는 2024년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2조 5,992억 원, 영업이익 2,209억 원, 당기순이익 1,057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1%, 78.3%, 197.5% 증가한 수치로, 특히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큰 폭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주요 요인은 무엇일 까?

매출 증가

신제품 출시와 기존 제품의 판매 호조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 4월 출시된 신제품 '켈리'는 2024년 3분기까지 누적 판매량 약 5.3억 병을 돌파하며 매출 증대에 기여하였습니다.

 

비용 절감

광고선전비 등 판매관리비의 감소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

소주 부문: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한 4,031억 원, 영업이익은 21.0% 증가한 361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2023년 11월 가격 인상과 시장 점유율 확대에 따른 결과입니다.

 

맥주 부문: 2024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한 1,797억 원, 영업이익은 23.2% 감소한 56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경쟁사의 물류 파업 및 가격 인상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하이트진로는 향후 베트남 현지 공장 설립 등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매출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2026년 완공 예정인 베트남 공장은 해외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반적으로 하이트진로는 2024년에 실적 개선을 이루었으며, 신제품 출시, 비용 절감, 해외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화이트 진로 25년은?

하이트진로는 2025년에 전반적인 매출 성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비용 절감과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실적 전망: DS투자증권은 하이트진로의 2025년 연결 매출액을 전년 대비 1.5% 증가한 2조 6,392억 원, 영업이익은 10% 늘어난 2,294억 원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비용 절감 전략: 하이트진로는 광고선전비 등 판매관리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수익성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IBK투자증권은 하이트진로가 비용 절감을 통해 전년 수준의 영업 마진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 확대: 하이트진로는 해외 소주 수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소주 수출 실적은 1,534억 원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는 전체 소주 매출의 11%를 차지합니다. 2025년에는 일본, 중국, 미국, 베트남 등 주요 국가에서 마케팅을 강화하여 해외 실적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제품 전략: 하이트진로는 대표 맥주 브랜드인 '테라'의 출시 6주년을 기념하여 패키지 리뉴얼과 마케팅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정 시장 확대와 시장 세분화를 목표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주류 업계 동향: 최근 주류 업계의 가격 인상 추이를 고려할 때, 하이트진로도 가격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반적으로 하이트진로는 비용 효율화와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 2025년 수익성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고 봅니다. 다만, 국내 주류 시장의 침체와 소비 경기 부진 등 외부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증권사들이 본 화이트 진로  주가 전망은?

DS투자증권

2025년 3월 20일 리포트에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8,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일 종가 대비 약 44.1%의 상승 여력을 의미합니다. DS투자증권은 하이트진로가 강도 높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IBK투자증권

2025년 3월 26일 리포트에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5,000원을 유지하였습니다. IBK투자증권은 하이트진로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하며, 특히 소주 부문의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전망하였습니다.

 

iM증권

2025년 1월 15일 리포트에서 목표주가 31,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일 종가 대비 약 62.6%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냅니다.

 

한국증권

2025년 3월 21일 보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의 2025년 실적을 연결 매출액 2조 6,392억 원, 영업이익 2,294억 원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5%, 10% 증가한 수치로, 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증권사들은 하이트진로의 비용 절감 노력과 해외 시장 확대 전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주가 상승 여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