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g(우) 배당금 지급일 중간배당 엘지 (+25년 최신)

by 정보s요정 2025. 9. 12.
반응형

동서에 이어 LG에서도 첫 중간배당을 실시합니다. 

 

LG는 중간배당에 이어 2500억원의 자사주까지 소각하면서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LG의 주주환원 정책은 무엇인지, 배당금은 얼마인지 

LG의 배당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LG 주주환원정책 

1. 자회사 지분매입완료

LG는 자회사 지분 매입을 마친뒤 이를 통해 배당수익기반을 확대했습니다. 

약 5000억원 규모의 지분 매입이며 이로인해 LG주주들에게 배당금을 더 많이 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당기순이익 50%

주주회사 특성을 따라 별도재무재표 기준으로 당기순이익의 50%를 배당으로 지급합니다. 

 

3. 배당성향 올림

배당성향 하한선을 50%에서 60%로 올렸습니다. 

 

4. 중간배당 

25년 첫 중간배당을 실시합니다. 

 

 

 

LG 배당금 히스토리 

24년 3,100원
23년 3,100원
22년 3,000원
21년 2,800원
20년 2,500원
19년 2,200원
18년 2,000원

 

 

 

 

LG 25년 중간배당 지급일 

배당금 1,000원/ 1,000원(우) 동일함
배당기준일 9월 12일
배당락일 9월 11일
마지막 매수일 9월 10일
배당금 지급일  9월 26일
1주당 배당수익률 1.4% / 1.7%(우)
배당성향 72%

 

 

LG 지주회사 2025년 상반기 실적과 하반기 전망

LG 지주회사(㈜LG)는 LG전자,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디스플레이, LG생활건강 등 주요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각 계열사의 실적 흐름이 지주회사 실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도전적인 환경 속에서도 일부 계열사가 선방했으며, 하반기에는 수익성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 상반기 실적 정리

LG전자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약 20조 7,4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약 6,391억 원으로 46.6% 감소하였습니다. 생활가전과 전장 사업은 비교적 선방했으나, TV 및 미디어 부문은 수요 둔화와 경쟁 심화로 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LG화학

2분기 매출은 약 11조 4,180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4,770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개선되었습니다. 석유화학 부문은 여전히 부진했으나, 첨단소재와 생명과학 부문이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매출은 약 5조 5,654억 원, 영업이익은 4,922억 원입니다. 매출은 감소했지만 원가 절감과 북미 인센티브(IRA) 덕분에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LG디스플레이

상반기 매출은 약 11조 6,523억 원, 영업손실은 826억 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손실 폭은 줄었으며, OLED 중심의 구조 전환이 진행 중입니다.

 

LG생활건강

상반기 매출은 약 3조 3,027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1,9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6% 감소하였습니다. 고환율과 원자재비 상승, 마케팅 비용 증가가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LG 지주회사는 배당성향 상향과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어 투자자 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전망

하반기 실적 전망은 상반기보다 개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기회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원가 절감 효과, 전장·B2B·첨단소재 등 고수익 사업 확대, 북미 IRA 정책 지원 등이 있습니다.

 

LG전자 전장 사업과 LG화학 첨단소재, LG에너지솔루션의 생산능력 확대는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소비심리 위축, 미국 및 글로벌 관세 정책 불확실성,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성, 전지 업계의 보조금 축소 가능성 등이 있습니다.

 

종합 전망

2025년 LG 지주회사의 전체 매출은 전년과 유사하거나 소폭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비해 영업이익 개선이 예상되며, 연간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감소하더라도 하반기 실적이 감소 폭을 줄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은 지주회사 가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결국 2025년은 상반기 어려움 속에서도 하반기 회복세가 기대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