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맥쿼리인프라 배당금 지급일 (25년 최신)

by 정보s요정 2025. 9. 17.
반응형

요즘 고배당주가 점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고배당으로 알려진 맥쿼리인프라가 있는데요.

 

오늘은 맥쿼리인프라 배당과 주가, 실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란?

 

맥쿼리인프라는 본사가 호주에 있는 호주기반 기업입니다.

우리나라에 상장된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이하 MKIF 또는 맥쿼리인프라)는 한국 증시에 상장된 인프라 펀드/인프라 투융자회사입니다. 인프라 사업에 투자해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에요. 운용은 맥쿼리자산운용이 맡고 있고, 유료도로, 항만, 도시가스, 데이터센터 등 여러 인프라 자산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대 주주 및 지분구조

1. MKIF는 상장 인프라펀드 형태라서, 전형적인 “최대주주”가 공개기업처럼 특정 개인 또는 법인으로 정해져 있는 구조는 아님.

2. 맥쿼리자산운용(Macquarie Korea Asset Management)이 외부 자산운용사로서 펀드를 운용하며, 투자자들은 이 기금(펀드)의 주주 기본 구성원임.

3. 즉, “운용사” 측이 의사결정 및 자산선택 관점에서는 큰 영향이 있고, 투자자들은 이 펀드의 주주로서 배당 및 위험을 나누는 구조에요.

 

맥쿼리인프라 역대 배당금은?

맥쿼리인프라는 꾸준히 6%대의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기배당 기말배당 1주당 수익률
25년 380원   6.4%
24년 380원 380원 6.84%
23년 385원 390원 6.12%
22년 380원 390원 6.18%

 

 

 

케이카 배당금 지급일 K-car(25년 최신) 고배당주

케이카는 21년 기말배당을 시작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분기배당을 지급했는데요. 실적에 대한 자신감이라 보여집니다. 오늘은 케이카 배당금과

first.suhsooinfo.com

 

 

 

맥쿼리인프라 25년 하반기 배당일정은?

배당금 380원 예상
배당기준일 12월 31일
배당락일 12월 29일
마지막 매수일 12월 26일
배당금 지급일  26년 4월 

 

 

 

맥쿼리인프라 25년 상반기 실적은?

10%성장

맥쿼리인프라(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2025년 상반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국내 인프라 투자 시장에서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상반기 운용수익은 약 2,7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이익은 약 2,435억 원으로 10% 성장했습니다

\

주주환원정책 

주주환원 정책에서도 변함없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상반기 분배금은 주당 380원, 총액 1,820억 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사전에 예고했던 분배금 수준과 동일합니다. 안정적인 배당은 맥쿼리인프라가 오랜 기간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유지할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도로부분 

자산별로 살펴보면, 우선 도로 부문에서는 다소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맥쿼리인프라가 보유한 유료도로 12개 자산의 통행량 가중평균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습니다. 이는 일부 구간에서 경쟁 도로 개통으로 인한 수요 분산 등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항만부분

항만 부문에서는 부산항 신항 2-3단계를 운영하는 비엔씨티(BNCT)의 상반기 물동량이 전년 대비 0.6%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매출은 소폭 상승했고, EBITDA는 소폭 하락했으며, 영업 마진은 44.1%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물류 흐름 변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도시가스 및 에너지 부분

도시가스 및 에너지 자산 부문은 판매량 증가가 눈에 띄었습니다. 해양은 +6.1%, 서라벌은 +2.3%, 씨엔씨티는 +4.1%의 판매량 증가를 기록하며 매출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다만 일부 자산에서는 판관비 등 비용이 조기에 집행되면서 EBITDA가 전년 대비 다소 감소하는 모습도 있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비용 구조 변화로,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익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재무구조는 매우 안정적

재무구조 또한 안정적입니다. 상반기 기준 맥쿼리인프라는 총 4,082억 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외부 차입금의 가중평균 만기는 5.5년 수준입니다. 부채비율은 약 **25.8%**로 낮은 편에 속하며, 신용등급 역시 AA0를 유지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이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5년 맥쿼리인프라 하반기는 어떨까?

긍정적 요인

안정적인 배당 및 분배금 유지 예상

상반기에 주당 380원 분배금이 잘 유지되었고, 포트폴리오 자산들이 기본적으로 배당 기반 수익이 많아 예측 가능성이 높음. 또한 일부 자산들이 완전 가동(데이터센터 등) 또는 램프 업(ramp up)이 진행 중이므로 추후 수익 기여가 커질 가능성 있어보입니다.

 

자산 확장 및 신규 투자 기대

최근 MKIF는 하남 데이터센터 등 디지털 인프라 확장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켰고, 앞으로도 인프라 수요가 높아지는 디지털/그린 인프라 자산 확보 움직임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재무 안정성 유지

부채비율이 비교적 낮고, 외부차입 만기도 길어 단기 유동성 압박이 크지 않음. 현금성 자산도 여유 있으며, 자산 운영권 만료나 종료되는 자산이 일부 있으나 예측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25년 하반기 맥쿼리인프라 리스크 및 하방요인

도로 통행량 회복 여부

통행량이 경기민감 요인 + 경쟁도로 개통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 경기 둔화 시 통행량 감소로 매출 및 수익성에 부담이 될 수 있음. 상반기 이미 일부 감소 경험하였습니다.

 

항만 부문 경쟁 및 물동량 리스크

부산항 신항 2-3단계 등 항만 부문은 글로벌 교역환경, 경쟁 항만 및 물류 흐름 변화 등에 민감함. 물동량 정체 또는 감소 시 매출/EBITDA 마진이 악화될 가능성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투자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