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카는 21년 기말배당을 시작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분기배당을 지급했는데요.
실적에 대한 자신감이라 보여집니다.
오늘은 케이카 배당금과 실적,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케이카는 어떤 회사?
케이카(K Car)는 대한민국의 직영 중고차 유통 플랫폼 기업으로, 중고차 매매·구매, 홈서비스, 렌트, 보증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어요.
최대주주 및 지분 구조
1. 케이카의 최대주주는 한앤코오토서비스홀딩스유한회사, 이는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H&Company, 한앤코)가 소유한 계열사입니다.
2.최대주주 지분율은 약 72%~73% 수준이에요.
3. 그 밖의 주주로는 국내 기관, 개인, 외국인 주주 등이 있으며, 소액주주 지분도 일정 부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모펀드인 최대 주주 지분율이 상당히 높은데요. 그 때문에 공격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 같습니다.
케이카 주주환원정책
분기 배당
케이카는 상장 이후부터 분기별 현금배당을 실시하고 있어요.
배당금은 실적 개선에 따라 조정되며, 예를 들어 2024년 1분기에 이전의 분기 배당금(190원)에서 250원으로 올린 바 있고요.
배당성향 의 높은 수준
케이카의 배당성향이 매우 높은 편이에요. 최근 몇 년 동안 당기순이익보다 배당액이 더 많거나 비슷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아왔고, 배당성향이 100% 이상으로 추정된 적도 있어요.
예로 2024년 3분기 누적 순이익 대비 배당성향이 약 118~120% 수준이라는 보도도 있을 정도입니다.
배당금 증액 경향
실적이 좋을 경우 배당금을 상향조정함으로써 주주환원을 강화하는 모습이 있어요. 예를 들어, 실적 호조에 따라 분기 배당금을 인상한 사례들이 보였는데요.
최근에도 주당 배당금 300원을 지급하겠다는 공시가 나왔습니다.
케이카 역대 배당금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25년 | 300원 | 300원 | ||
24년 | 250원 | 300원 | 300원 | 300원 |
23년 | 190원 | 190원 | 190원 | 190원 |
22년 | 190원 | 190원 | 190원 | 190원 |
케이카 25년 3분기 배당일정은?
배당금 | 300원 예상 |
배당기준일 | 9월 30일 |
배당락일 | 9월 29일 |
마지막 매수일 | 9월 26일 |
배당금 지급일 | 11월 예상 |
배당성향 | 70% |
1주당 배당 수익률 | 7.6% 예상 |
NH투자증권(우) 배당금 지급일 (25년 최신)
NH투자증권은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작년 시가 배당률은 보통주 6.4%, 우선주 7.7%로 고배당인데요. 금융주 중에서도 삼성증권과 함께 고배당을 주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NH투자증
first.suhsooinfo.com
케이카 실적은 어떻게 될까?
케이카는 2025년 2분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우선, 매출은 약 6,088억 원으로 집계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경매 부문 성장과 평균 판매단가상승이 크게 기여한 결과입니다.
영업이익은 약 1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0.1%)했으며, 당기순이익 역시 약 120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매 부문이 중요한 성장 축이었습니다.
경매 판매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했고, ASP 역시 상승하며 매출 확대를 이끌었습니다. 또한 유효시장을 기준으로 한 케이카의 점유율은 12.7% 수준으로, 전년 대비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하반기 전망 및 리스크 요인
25년 케이카 하반기 실적 긍정적 요인
소비심리 회복 기대
1. 대선 이후 및 6월 이후로 소비심리가 점차 회복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는 경영진 발언이 있었습니다.
2. 중고차 시장 전체적으로 하반기 수요 개선 가능성이 크다고 케이카에서도 전망 중이라고 합니다.
자동차 평균 시세 상승 및 전기차 강세
전기차 중고차 시세는 상반기 하락세를 벗어나 회복 중. 특히 소형 SUV 전기차 중심으로 시세 상승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국산 경차 및 일부 수입 중형/준대형 차종에서도 시세가 오르는 추세입니다
경매 사업 확대
경매 부문에서 판매 수, 단가 모두 증가하면서 실적에 기여도가 커짐. 하반기에도 이 부문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평가됨.
확고한 시장 지위 + 점유율 확대
유효시장 점유율 12.7% 수준 유지 + 성장 추세. 사업자 간 경쟁 심화되더라도 케이카가 가진 직영망 + OMO(online+offline) 통합 역량이 경쟁 우위 요소로 작용중입니다.
25년 하반기 케이카 리스크 혹은 불확실성 요인
소매 판매 부진
2분기 소매 판매는 소비심리 위축, 외부 정치·사회적 불확실성 등 영향으로 감소함. 단가가 높아지는경우 있으나, 판매대수가 회복되지 않으면 전체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GPU/마진률 압박 가능성
소매 대당 마진이 전분기 대비 약간 하락했고, ASP 상승이 모든 차종에서 균일하게 이뤄지는 것은 아님. 경쟁 심화되면 할인·프로모션 강도 증가 가능성 있음.
중고차 시세 변동성
유종(내연, 하이브리드, 전기 등), 차종, 신차 공급 이슈, 보조금 정책 변화 등이 시세에 영향을 줄 수 있음. 특히 전기차는 강세지만 신모델 출시 등이 잘못 맞으면 약세로 돌아설 여지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