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주는 모두들 아시는 유명한 고배당주이죠? 요즘 통신주의 대장주인 sk텔레콤은 실적 또한 좋아 주가차익과 배당금 모두 노릴 수 있는 주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경기가 좋지않고 미국의 관세로 미래가 불투명한 이 시점에 국내에서 꾸준히 실적을 내고 있는 sk텔레콤은 좋은 투자처 중의 하나일 것 같습니다.
sk텔레콤 배당정책
sk텔레콤은 1년에 4번 분기별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3월, 6월, 9월, 다음해 2월 말입니다.
배당기준일까지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주당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국내 대표배당주식이라 불리는 이유는 이익잉여금의 50% 이상을 배당으로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24년 배당성향은 60%입니다. 즉 작년의 이익 중 60%를 배당으로 지급했습니다.
sk텔레콤 24년도 배당금은 얼마?
배당기준일 : 25년 2월 28일
배당금 지급일 : 25년 4월 25일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1주당 배당금액 | 830원 | 830원 | 830원 | 1,050원 |
sk텔레콤 역대 배당금
배당금액 | 배당 수익률 | |
2024년 | 3,540원 | 6.4% |
2023년 | 3,540원 | 7.08% |
2022년 | 3,320원 | 6.51% |
2021년 | 6,660원 | 7.44% |
2020년 | 10,000원 | 7.49% |
2019년 | 10,000원 | 8.05% |
2025년 현대차(우) 배당금 지급일 (최신)
현대차는 성장성과 고배당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주식 중 대표적인 주식입니다. 해마다 실적이 늘어나면서도 7%대의 배당수익률을 얻을 수 있어 주주 뿐만 아니라 배당주에 관심있어하는
first.suhsooinfo.com
25년 sk텔레콤 배당일정
25년 1분기
배당기준일 : 25년 3월 31일
배당락일 : 25년 3월 28일
마지막 매수일 :25년 3월 27일
배당금 지급일 : 25년 5월 14일
배당금 : 830원
25년 2분기
배당기준일 : 25년 6월 30일
배당락일 : 25년 6월 27일
마지막 매수일 : 25년 6월 26일
배당금 지급일 : 25년 8월
sk텔레콤 주가
sk텔레콤은 장기적으로 우상향인 주가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관세로 인해 국내 주식 분위기가 어수선 한 가운데 sk텔레콤는 안정적으로 주가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안정적인 실적때문입니다.
24년 연간실적
sk텔레콤은 전년대비 실적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4분기 실적이 크게 감소했지만 연도별로 보면 양호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투자
sk텔레콤는 현재 상황에 만족하지 않고 AI투자에 선행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즉 신사업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24년에 전체 매출 중 이 신사업 매출이 22%까지 확대되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K텔레콤 2024년 연간 실적
매출: 17조 9,406억 원 (전년 대비 1.9% 증가)
영업이익: 1조 8,234억 원 (전년 대비 4.0% 증가)
당기순이익: 1조 4,388억 원
별도기준
매출: 12조 7,741억 원 (전년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1조 5,232억 원 (전년 대비 4.6% 증가)
당기순이익: 1조 3,322억 원
이러한 성과는 유·무선통신과 AI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분기별 실적
1분기: 매출 4조 4,746억 원, 영업이익 4,985억 원, 당기순이익 3,619억 원
3분기: 매출 4조 5,321억 원, 영업이익 5,333억 원, 당기순이익 2,802억 원
특히 3분기에는 로밍과 엔터프라이즈 등의 고른 성장으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SK텔레콤은 AI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ai 산업방향과 실적은?
SK텔레콤은 신사업으로 인공지능(AI) 중심의 사업 전환을 가속화하며, AI 분야에서의 수익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AI 산업 방향
2025년 3월, SK텔레콤은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전략은 AI 데이터센터, AI B2B(기업 대상), AI B2C(소비자 대상)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 집중하여 AI 사업의 수익화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 데이터센터(AI DC)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소규모 모듈러 AI 데이터센터, 단일 고객 전용 AI 데이터센터,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B2B: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AI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AI B2C: 일반 소비자에게 AI 기반의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SK텔레콤은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티센과의 협력을 통해 GPUaaS와 AI 클라우드 매니저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있습니다.
AI 실적
이러한 전략의 결과로, SK텔레콤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7조 9,406억 원, 영업이익 1조 8,234억 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 4.0% 증가한 수치로, AI 사업의 성장이 실적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4%의 매출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략의 성과로 평가됩니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AI 분야에서의 투자를 확대하고, AI를 통한 수익 창출을 가속화하여 글로벌 AI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주주환원 정책은?
SK텔레콤은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환원 규모: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연결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의 50% 이상을 주주에게 환원할 계획입니다. 이는 이전 정책보다 환원 비율을 확대하고, 재원의 상한선을 폐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환원 방식: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병행하여 주주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배당 정책
분기 배당 도입: 2021년부터 분기 배당을 실시하여 주주들에게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배당 수준: 2024년 4월에는 주당 83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하였으며, 이는 시가배당률 1.6%에 해당합니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자사주 매입: 2023년에는 2,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였으며, 이는 주가 부양과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입니다.
자사주 소각: 매입한 자사주는 전량 소각하여 주식 수를 줄임으로써 주당 가치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중입니다.